5지 선다형
1. 인터넷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전세계 누구나 정보를 쉽고 빠르게 교환할 수 있는 개방형 구조
중앙에 어떠한 통제기구도 없이 자발적으로 운영
전 세계 컴퓨터를 하나로 연결한다는 의미의 인터네트워크라는 용어에서 시작
TCP/IP를 표준 프로토콜로 사용
2. WWW 혹은 W3C라고도 불리는 웹을 제안하고 아직도 웹 컨소시엄을 주도적으로 이끌고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팀 버너스 리
3. 인터넷 주소의 도메인 네임에서 국가명으로 사용되는 것은?
한국: kr / 중국: cn / 일본: jp / 영국: uk
4. 다음 중 인터넷 서비스인 것은?
ftp, telnet, gopher, e-mail
5. 개인 또는 기관에게 전화선이나 전용회선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영리기관을 무엇이라 하는가?
ISP
6. 하이퍼미디어 노드로 표현하는 객체에 해당하는 것은?
텍스트, 그래픽, 사운드, 애니메이션
7. 인터넷에 연결된 웹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하이퍼미디어 정보를 불러와서 사용자의 컴퓨터 화면에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웹 브라우저
8. 웹2.0 시대 인터넷 기업의 독특한 특징을 보여주는 경제법칙의 명칭은 무엇인가?
롱테일 법칙
9. 웹2.0 시대의 특징을 잘 표현하고 있는 개념은?
참여, 공유, 분산, 개방
10. 콘텐츠 유통을 위하여 제공되는 RSS 기술에서 원하는 사이트의 주소를 등록하면 주기적으로 RSS 파일을 읽어오는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RSS 리더
괄호넣기
1. 인터넷은 1969년 구소련 스투프니크 인공위성 발사를 계기로, 미국 국방성이 유사시 군사적 통신 정보의 공유를 목적으로 개발한 ARPAnet에 기원을 두고 있다. 이 네트워크는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IP 전송규약을 사용하여 구성하였다.
2.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규약으로 TCP는 데이터의 흐름을 관리하고 수신된 데이터가 정확한지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IP는 데이터를 목적지에 전송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3. 웹의 특징은 서비스 프로토콜로 HTTP 규약을 사용하고 있으며, 인터넷의 다양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HTML이라는 표준 주소표기 방식을 이용하였다.
4. 하이퍼미디어는 하이퍼텍스트의 개념에서 유래한다. 하이퍼텍스트는 상호연관된 텍스트 조각들을 비순차적으로 연결하여 구성한 정보이다.
5. 1993년 미국 일리노이 대학의 NCSA 연구센터에서 당시 학생이었던 마크 안드레센과 에릭 비나가 개발한 Mosaic 프로그램이 멀티미디어 환경을 지원하는 최초의 웹 브라우저이다.
6. FTP는 다른 곳에 있는 컴퓨터로부터 데이터 파일이나 프로그램 등을 받아 볼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이다. 웹이 탄생하기 이전에 전자우편과 함께 가장 인기 있는 서비스이며, 주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파일형태로 다운로드 받거나 웹 페이지를 만들기 위해 파일을 웹 서버에 전송하는 경우에 이용한다.
7. 기존의 방송은 공중 무선망을 이용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이었으나, 인터넷 방송은 인터넷망을 통하여 접속하는 사용자에게만 동영상 스트리밍 기법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한다.
8. 웹 2.0 콘텐츠의 생성은 사용자 집단의 능동적인 참여와 공유에 의해서 더욱 가치가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 생산 콘텐츠를 UCC 또는 UGC 라고 부르며 사용자들은 콘텐츠의 공급자인 동시에 소비자이므로 프로슈머라는 용어로 부르기도 한다.
9. 기존의 웹 콘텐츠는 생산자가 자신의 홈페이지에 게시를 해 놓거나 혹은 이메일 전송을 해주면 일반 사용자는 이를 보고 나서 해석을 하는 단계를 거쳤다. 이러한 콘텐츠 유통 과정에 혁신을 가져온 기술은 해당 사이트에서 업데이트 되는 정보를 RSS 피드라는 형식으로 배포하여 원하는 웹사이트의 갱신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해 주었다.
10. 예전에 웹 검색의 경우 미리 정해져 있는 카테고리에 따라 자료를 분류하여 검색하는 디렉토리 방식의 검색 서비스를 하였다. 소셜 태깅은 사용자가 키워드를 임의의 태그로 붙이고 이들을 검색하는 기법을 말한다. 이 때 일반 사용자 대중이 자유롭게 붙인 태그에 따라 정보를 분류한다는 의미로 폭소노미라고 부른다.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IX. 가상환경과 멀티미디어 (0) | 2022.12.01 |
---|---|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VIII. 모바일 멀티미디어 (0) | 2022.12.01 |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VI. 비디오 처리 기술 (1) | 2022.12.01 |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Ⅴ. 애니메이션 기술 연습문제 (0) | 2022.10.12 |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Ⅳ. 사운드 처리 기술 연습문제 (0) | 2022.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