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지 선다형
1. 다음 중 가상현실의 요구사항과 거리가 가까운 것은?
임장감, 상호작용성, 자율성, 몰입감
2. 다음 중 몰입형 가상현실 시스템에 해당하는 것은?
CAVE
3. 다음 중 몰입형 가상현실 시스템과 관련 있는 것은?
헤드 트래커, 3D 음향, 3D 그래픽 가속기, VR SDK
4. 다음 중 HMD의 문제점과 관련 있는 것은?
화면의 크기, 지연 시간, 시야각, 멀미현상
5. 다음 중 가상현실(VR)의 활용 분야와 가까운 것은?
엔터테인먼트, 도시계획, 엔지니어링(제조과정), 훈련
6. 증강현실(AR)보다 더 가상세계를 기반으로 하는 개념은?
증강가상
7. 다음 중 증강현실(AR) 시스템의 구성 및 원리와 가까운 것은?
위치 트래킹, 방향 트래킹, 이미지 정합, 동영상 스티칭
8. 웹 환경에서 가상현실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표준 언어는?
X3D
9. 다음 중 텍스트 파일 형식을 가지는 미디어 형식은?
X3D(VRML)
10. 다음 중 컴퓨터가 생성한 장면과 관련 있는 것은?
몰입형 가상현실, X3D 장면, 증강현실, 비몰입형 가상현실
괄호넣기
1. 가상현실에서 몰입을 위한 대표적인 장치들로는 HMD, 데이터 글러브, 3D 위치 트래킹 등이 있으며, 이러한 장치를 이용해 사용자에게 전자적인 피드백을 통해 감각을 형성한다.
2. 방과 같은 공간의 벽에 영상을 투시하여 마치 동굴 내에서 가상환경에 몰입되는 듯한 환경을 제공하는 CAVE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시스템을 구현하기도 한다.
3. Apple사가 1995년경 개발한 QuickTime VR이 가장 대표적인 이미지기반 VR로서 QuickTime VR의 특징은 3차원 모델링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연속적인 사진 이미지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기술이다.
4. 360 VR은 이미지기반 VR과 개념적으로 유사하나 사진을 연결하여 제작한 것이 아니고 360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하고 동영상을 연결하여 마치 가상현실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제작한 것이다.
5. 가상환경에서 자유롭게 탐색항해 하거나 가상환경 내 어떤 물체와 상호작용하거나 작업을 수행할 때 흔히 제스처나 음성을 통한 NUI 방식의 상호작용이 요구된다.
6. 가상현실의 출력장치 중에는 이와 같은 시각적인 정보 전달뿐만 아니라 몰입감을 보다 높이기 위해 청각, 촉각 및 후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들이 있다. 청각의 경우 HRTF라는 계산법을 이용하여 가상환경에서의 소리가 사람의 귀에 전달되는 것을 실제 세계에서 들리는 것처럼 생동감 있게 3D 서라운드 사운드를 생성한다.
7. 증강현실(AR)에서는 현재 위치의 실세계 이미지에 추가적인 정보를 보여주는 데 비하여 원격존재는 원격의 실세계 이미지 상에서 이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정하고 제어한다.
8. 아바타는 '분신' 또는 '화신'을 뜻하는 단어로 사이버공간에서 사용자를 대신해서 활동하는 개체로 대리인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아바타는 컴퓨터에 의해서 만들어진 사람 형상을 가진 모델의 한 종류로 가상환경 내에서 다른 참여자들에게 자신을 나타내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9. 혼합현실이란 현실세계와 가상세계를 혼합한 것으로, 현실세계의 이미지와 컴퓨터가 생성한 가상의 이미지, 그래픽 또는 부가정보를 합쳐놓은 것을 의미한다.
10. VRML은 웹 환경에서 동적인 3차원 환경을 개발하기 위해 표준으로 제안된 스크립트 형식의 언어로, 가장 대표적인 3차원 모델링 언어이다. C++이나 Java와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도 아니고, HTML과 같은 마크업 언어도 아닌 3차원 공간을 구성할 수 있는 모델링 언어이다.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X. 디지털 콘텐츠와 멀티미디어 (0) | 2022.12.01 |
---|---|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VIII. 모바일 멀티미디어 (0) | 2022.12.01 |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VII. 인터넷 환경과 멀티미디어 (0) | 2022.12.01 |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VI. 비디오 처리 기술 (1) | 2022.12.01 |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Ⅴ. 애니메이션 기술 연습문제 (0) | 2022.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