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지 선다형
1.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통신 방식이 발전해 왔다. 다음 중 이동통신을 위해 사용된 통신 방식은?
CDMA, TDMA, WiBro, IMT-2000
2.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 산업 환경에서 모바일 게임, 전자책, 모바일 결제, 모바일 쿠폰, 모바일 광고 시장 등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콘텐츠
3. 다음 중 모바일 플랫폼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iOS 개발자는 모든 아이폰을 대상으로 테스트 및 버전관리를 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iOS는 애플사의 기기에만 탑재되어 있다.
Android는 오픈소스 전략을 통하여 여러 회사의 스마트폰에 탑재가능하다.
Android는 스마트폰 개발 회사가 자신에 회사에 맞도록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다.
4. 다음 중 전 세계 모바일 폰 시장 점유율 1위에 해당하는 운영체제로 알맞은 것은?
Android
5. 다음 중 모바일 기기에서 래스터 방식의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형식은?
GIF, JPEG, PNG, SIS
6. 다음 중 구글에서 운영하는 온라인상의 스토어 이름으로 알맞은 것은?
Play Store
7. 다음 중 하이브리드 앱에 대한 설명은?
하이브리드 앱은 주로 HTML5, Javascript, CSS3로 개발한다.
하이브리드 앱은 앱스토어를 통해 판매가 가능하다.
하이브리드 앱은 웹의 장점과 앱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다.
하이브리드 앱은 콘텐츠 부분을 다른 플랫폼에서도 재활용 가능하다.
8. 다음 중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모바일 환경에 따른 특징은?
신속성, 지역성, 개인화, 즉시 연결성
9. 이동통신망의 GPS 측위 및 Wi-Fi 측위가 가능한 스마트폰의 확산에 따라 긴급구조 등에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 모바일 기술은 무엇인가?
위치기반서비스
10. 다음중 LBS 기술을 이용한 사례로 가장 알맞은 것은?
페이스북의 체크인 기능을 이용해서 내가 현재 위치한 장소를 SNS에 게시하였다.
괄호넣기
1. 웹서비스의 혁명이란 이른바 'Three Any'로 특징이 설명되는 유비쿼터스 환경의 실현을 말한다. 즉 언제, 어디서나, 어떤 단말기를 이용하더라도 자유롭게 인터넷에 접속하여 하고 싶은 일을 마음대로 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2. 국내에서 4세대 이동통신은 2011년 7월 SK텔레콤과 LG U+에서 4G LTE 서비스를 시작하고 2012년 1월 KTF에서 4G WiBro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본격적인 4G 이동통신 시대가 개막되었다.
3. 무선인터넷 서비스에는 무선 LAN이나 핫스팟과 같이 제한된 구역 내에서 이용이 가능한 고정형 무선인터넷과 이동 중에도 이용이 가능한 이동형 무선인터넷으로 나뉜다.
4. 모바일 기기는 휴대하고 다니기 때문에 PC에서 사용하는 크기의 키보드 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모바일 기기의 입력 수단은 몇 개의 버튼, 터치스크린, 펜 입력장치 등을 이용해야 하는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모바일기기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법이 요구된다.
5. 스마트폰은 단순 음성통화를 위한 기기라고 하기보다는 일반 PC와 같이 고기능의 범용 운영체제를 탑재하여 인터넷, 이메일, 전자책, 게임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자유롭게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는 고기능 휴대폰을 말한다.
6.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모바일 운영체제 사업자들은 개발자들에게 API 및 개발도구를 무료로 제공해주어 자신의 모바일 운영체제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더 많이 개발되도록 공개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7. 최근 고기능의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환경에서는 화상전화, 스트림 비디오, DMB 방송 등 더 높은 해상도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요구하고 있으며, 초창기 PC에서 적용하던 640x480의 VGA보다 폭이 넓은 800x480 크기의 WVGA급의 해상도를 채택하고 있다.
8. 모바일 단말기에서 3D 그래픽스를 구현할 때 처리해야 할 계산량이 많아서 속도가 느려지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그래픽스 엔진에서 처리해 주는 것이 효율적이며, 그래픽스 엔진을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대표적인 모바일 3D 그래픽스 API로는 OpenGL ES가 있다.
9. SMS나 MMS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간에 문자 메시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반면에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는 스마트폰에서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현재의 접속자들과 실시간 문자로 대화하도록 해주는 서비스로 국내에서는 '카카오톡'이 가장 대표적이다.
10. 가상현실은 사용자로 하여금 가상의 3D 공간에서 가상의 물체를 보고 체험할 수 있는 반면 증강현실은 사용자가 눈으로 직접 보고있는 현실세계에 추가적인 가상정보를 제공해 주는 개념이다.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X. 디지털 콘텐츠와 멀티미디어 (0) | 2022.12.01 |
---|---|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IX. 가상환경과 멀티미디어 (0) | 2022.12.01 |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VII. 인터넷 환경과 멀티미디어 (0) | 2022.12.01 |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VI. 비디오 처리 기술 (1) | 2022.12.01 |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Ⅴ. 애니메이션 기술 연습문제 (0) | 2022.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