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Ⅳ. 사운드 처리 기술 연습문제

아이리스 Iris 2022. 10. 12. 00:07

5지 선다형

1. 나이키스트 정리에 의하면 사람의 가청주파수(20Hz~20KHz)를 재생하기 위한 표본화율은?

40 KHz

 

2. 음의 표본화율이 44.1 KHz, 해상도가 16비트, 스테레오 모드로 1분 길이의 음을 표현하기 위한 파일의 크기는?

10.5 MB

* 파일 크기 = 표본화율 X 해상도 X 모드(mono=1, stereo=2) X 시간(초)

* 8,000,000bit = 1,000,000byte = 1,000KB = 1MB

 

3. 디지털 사운드의 압축 방식에 속하는 것은?

ADPCM, A-Law, AAC, TrueSpeech

 

4. 압축 표준 MP3와 관련있는 것은?

MPEG-1 Layer 3, 서브 밴드, 대표음의 마스킹, 음성 심리학적 원리

 

5. 입체음향의 생성 원리와 관련있는 것은?

HRTF, RTF, 차폐(Occlusion) 기술, 머리 전달함수

 

6. MIDI 음원 모듈은 그 자체로서는 아무런 일도 할 수 없다. 이 음원 모듈에 어떤 악기를 얼마의 강도로 얼마나 오랫동안 소리를 내라고 명령하는 프로그램으로 미디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고, 저장되어 있는 미디 데이터를 연주, 편집하는 기능을 가진 소프트웨어는?

시퀀서

 

7. 3D 사운드(입체 음향)가 가장 유용하게 활용되는 분야는?

컴퓨터 게임

 

8. 디지털 사운드 파일 포맷에 해당하는 것은?

WAV, Au, MP3, AAC

 

9. 사운드 카드의 일반적인 기능과 관련있는 것은?

ADC 기능, DAC 기능, MIDI 지원, 사운드 데이터의 편집

 

10. 사운드를 표본화를 할 때 원음을 그대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원음이 가지는 최고 주파수의 2배 이상으로 표본화해야 한다는 것을 무엇이라 부르는가?

나이키스트 정리


괄호넣기

1. MIDI는 전자 악기와 컴퓨터 간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만든 통신 프로토콜로서 음악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MIDI는 음 자체에 대한 파형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음을 연주하는 방법과 연주시기 등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2. 사운드는 음의 높낮이와 관련이 있는 주파수, 음의 크기와 관련이 있는 진폭, 각 음의 특성인 음색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3. 일반적으로 사람이 낼 수 있는 주파수대는 약 100Hz~6KHz이다. 또한 가청 주파수대는 약 20Hz~20KHz 사이이고, 사람의 청각은 1KHz~6KHz에서 가장 민감하다.

 

4. 일상적인 사운드는 아날로그 형태인데, 컴퓨터에서 처리하기 위해서는 디지털의 형태로 변환되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은 ADC 장치에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표본화 및 양자화 과정을 거쳐서 디지털 형태로 출력이 된다.

 

5. 나이키스트 정리가 실제로 적용된 예로 우리가 많이 듣고 있는 음악 CD의 경우 표본화율은 44.1KHz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재생할 수 있는 최고 주파수는 22.05KHz가 된다.

 

6. 아날로그 사운드를 표본화된 각 점에서의 값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그 값을 어느 정도의 정밀도로 표현할지를 결정해야 한다. 이러한 정밀도는 바로 그 값을 표현하는 비트 수와 연관된다. 예를 들어, 8bit로 양자화를 하면 256단계로 값을 표현할 수 있지만, 16bit로 양자화를 하면 더 세밀한 65,536단계로 값을 표현할 수 있다.

 

7. 우리가 듣는 음악 CD의 경우 한 시점에서 음의 값을 16 비트로 표현하고 있다. 이때 표본화하는 정밀도를 음의 해상도라고 한다.

 

8. MP3는 동영상 압축 표준인 MPEG에서 오디오 부분의 압축을 의미하며 손실 압축 방식이다. 현재 MPEG-1과 MPEG-2가 사용되고 있는데 오디오 부분에서는 MPEG-1의 Layer 3이 MP3라는 이름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고, MPEG-2의 오디오 부분인 AAC도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9. 입체 음향이란 음원이 존재하는 공간에 직접 위치하지 않은 청취자가 재생된 음향을 들었을 때 음향으로부터 공간적 단서(방향감, 거리감 및 공간감)를 지각할 수 있는 음향을 의미한다.

 

10. 머리 전달함수는 무반향실 내에서 가짜머리를 이용하여 여러 각도에 배치한 스피커에서 나오는 음들을 녹음하여 푸리에 변환한 것을 의미한다. 머리 전달함수는 소리가 들어오는 각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여러 위치에서 나오는 음들에 대해 머리 전달함수를 측정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