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지 선다형
1. 8비트 컬러를 사용하는 GIF에서 표현할 수 있는 컬러의 수는? (p.92)
256
2. 래스터 그래픽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소프트웨어는?
칠하기 도구
3. 벡터 그래픽 방식의 소프트웨어와 가장 관련성이 높은 것은?
Illustrator
4. CMY 컬러 모델에 기반하고 있는 장치는?
잉크젯 프린터
5. 아날로그 사진을 디지털화 과정에서 1024 X 512 화소로 표본화하고 각 화소를 16비트로 표현할 때 이 사진에 소요되는 메모리 용량은?
2 MB
6. 사람이 그린 그림을 압축하기 위하여 가장 적합한 압축 방식은?
JPEG
7. JPEG에서 압축을 위한 과정과 관련있는 과정은?
RGB 모델에서 YIQ 모델로 변환, 양자화 과정, 엔트로피 코딩, DCT 변환
8. 3차원 그래픽스 처리과정과 관련있는 것은?
모델링, 텍스쳐 매핑, 렌더링, 은면의 제거
9. 래스터 방식의 파일 포맷은?
BMP, GIF, PNG, JPEG
10.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가장 잘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는?
Photoshop
괄호넣기
1. 픽셀은 'Picture Element'의 합성어로 화면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를 뜻한다. 즉, 쉽게 말해서 모니터의 화면에 나타나는 각각의 점을 의미한다.
2. 해상도는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장치 해상도는 출력장치가 단위 면적에 표현할 수 있는 픽셀 수를 말하며, 이미지 해상도는 장치와는 무관하게 이미지 자체의 해상도를 말한다.
3. 래스터 그래픽은 픽셀단위로 저장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파일의 크기는 해상도에 비례한다. 그리고 화면을 확대할 때 화질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래스터 그래픽은 칠하기 도구에 의해 픽셀들의 형태로 생성된다.
4. 벡터 그래픽은 기학적인 객체들을 표현하는 그래픽 함수들로 표현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파일의 크기가 래스터 그래픽 방식에 비해 작다. 벡터 그래픽은 점, 선, 곡선, 원 등의 기하적 객체로 표현되므로, 화면 확대 시 화질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5. RGB 모델은 빛의 삼원색으로 불리는 적색, 녹색, 청색을 더하여 색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가산 모델이라고 불리며, 빛의 성질을 이용한 특성 때문에 CRT 모니터 등 빛으로 컬러를 표현하는 곳에서 많이 사용한다.
6. 아날로그 이미지는 컴퓨터에서 직접 저장하거나 처리할 수 없으므로, 일단 픽셀들로 구성된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시켜야 한다. 여기서 아날로그 이미지는 표본화 및 양자화 과정을 거쳐 디지털 이미지로 바뀌게 된다.
7. 히스토그램의 평준화란 이미지에서 명암도에 따른 픽셀의 수를 고르게 분포시키는 기법이다. 이때 각 픽셀의 명암도에 따른 순서는 변하지 않도록 한다. 이미지에 대해 히스토그램 평준화를 시키면 어두운 이미지는 전체적으로 밝아져서 어두운 부분에서의 명암차이를 쉽게 구분할 수 있으며, 밝은 이미지는 전체적으로 어두워져서 밝은 부분의 명암차이가 쉽게 구분된다.
8. 컬러 정지화상(사진)의 압축을 위하여 1992년 국제 표준으로 JPEG 알고리즘이 확정되었다. JPEG에는 다양한 압축 모드가 있는데, 그중 무손실 압축은 X-레이나 CT사진에서와 같이 픽셀 하나하나가 중요한 경우에 사용되며, 손실 압축은 JPEG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방식이다.
9. 일반적인 3차원 그래픽의 생성 과정은 먼저 물체의 기하학적인 형상을 모델링하고, 이후 필요에 따라 3차원 물체를 2차원 평면에 투영한다. 이렇게 생성된 3차원 물체에 색상과 명암을 나타낸다.
10. 렌더링이란 3차원 컴퓨터 그래픽에서 그림자나 색체의 변화와 같은 3차원적인 질감을 더하여 현실감을 추가하는 과정으로, 와이어프레임 이미지를 명암이 있는 이미지로 바꾸는 데 사용되는 기법을 말한다.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VI. 비디오 처리 기술 (1) | 2022.12.01 |
---|---|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Ⅴ. 애니메이션 기술 연습문제 (0) | 2022.10.12 |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Ⅳ. 사운드 처리 기술 연습문제 (0) | 2022.10.12 |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Ⅱ.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환경 연습문제 (0) | 2022.10.11 |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Ⅰ. 멀티미디어와 정보화사회 연습문제 (0) | 2022.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