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지 선다형
1.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구성요소는? (p.45)
저작도구, 미디어 편집 소프트웨어, 장치 드라이버, 멀티미디어 DBMS
2. 미디어 처리장치에 속하는 것은?
사운드 카드, 그래픽 가속보드, 비디오 보드, GPU
3. 각각의 미디어 데이터를 통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나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무엇이라 하는가?
콘텐츠 저작도구
4. 컴퓨터가 다수의 미디어 정보를 실시간으로 동시에 재생될 수 있도록 운영체제가 다수의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멀티태스킹
5. 정보통신 및 멀티미디어 분야의 표준화 기구와 관련있는 기구는?
ISO, IEC, W3C, IMA
6. 표준안은 완성도에 따라 워킹그룹 초안, 위원회 초안, 국제 초안, 국제 표준안으로 나뉜다. 가장 완성도가 높은 표준안은?
IS
7. 압축 및 저장에 관한 국제 표준은?
JPEG, MPEG, MIDI, PNG
8. 그래픽 도면, 손으로 쓴 글자, 도형 등을 손으로 그려 입력할 수 있는 장치는?
그래픽 태블릿
9. Nvidia GTX680과 같이 칩 내의 수백 ~ 수천 개 이상의 코어를 활용하여 연산을 병렬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그래픽 및 이미지처리를 병렬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는?
GPU
10. 클라우드 저장장치의 특성은?
IT 자원의 경제성, 보다 높은 신뢰성, 위치와 장치에 상관없음, 필요의 증감에 따라 유연하게 제공
괄호넣기
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각종 미디어를 생성, 편집하는 미디어 편집 소프트웨어와 미디어들을 통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제작하기 위한 저작도구가 필요하다.
2.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고 재생하는 하드웨어 환경과 소프트웨어 환경을 합쳐서 멀티미디어 시스템이라고도 부른다.
3. 보다 빠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를 위해 많은 컴퓨터가 GPU나 GPGPU 칩을 장착하고 있다. GPU/GPGPU는 컴퓨터 그래픽, 이미지 및 비디오 처리에 매우 효율적인 수많은 병렬처리 프로세서를 가지고 있어 그래픽 및 이미지처리 알고리즘의 매우 빠른 처리와 조작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다.
4.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클라우드에 저장할 수 있다. 클라우드를 이용하면 보다 안전하고 유연성 있는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하다. 클라우드 저장장치를 통해서 이용자는 IT 자원의 경제성, 보다 높은 신뢰성, 위치와 장치에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는 IT 자원 및 필요의 증감에 따라 유연하게 제공되는 IT 자원의 혜택을 볼 수 있다.
5. Adobe사는 Adobe Creative Cloud를 통해 미디어 편집 소프트웨어인 Illustrator, Photoshop, Audition, Flash, Premier와 같은 미디어 편집도구를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SaaS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6. DVD보다 훨씬 많은 양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고선명 비디오 저장매체(HD)로서 소니사의 블루레이 디스크와 도시바사의 HD-DVD가 존재했다. 블루레이 디스크는 최고 50GB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차세대 대용량 저장매체로 주목받고 있으며, 디지털 방송시대에 적합한 매체로 2008년 실질적인 고선명 DVD 표준으로 자리잡았다.
7. 멀티미디어는 여러 미디어 정보가 실시간으로 동시에 재생되어야만 정보 전달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운영체제는 멀티태스킹 기능을 지원하여야 한다. 멀티태스킹이란 한 대의 컴퓨터가 다수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8. CD/DVD 타이틀 저작도구는 아이콘기반 또는 흐름도 방식, 시간선 또는 스코어 방식, 카드 또는 책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9. SGML은 미국 주도의 전자문서 표준안으로, 미 국방성 등의 CALS 문서, 미국 출판협회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SGML 문서는 사용되는 문자의 종류 등을 기술하는 선언부, 문서의 구조를 기술하는 문서구조 정의부, 실제 문서로 구성되어 있다.
10. 그래픽 API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OpenGL은 표준화 기구가 제정한 표준사양이 아니고 Silicon Graphics사가 만든 그래픽 API를 확장한 산업체 표준이다. OpenGL은 컴퓨터 플랫폼이나 운영체제에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그래픽 API이다.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VI. 비디오 처리 기술 (1) | 2022.12.01 |
---|---|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Ⅴ. 애니메이션 기술 연습문제 (0) | 2022.10.12 |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Ⅳ. 사운드 처리 기술 연습문제 (0) | 2022.10.12 |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Ⅲ. 이미지와 그래픽 기술 연습문제 (0) | 2022.10.11 |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Ⅰ. 멀티미디어와 정보화사회 연습문제 (0) | 2022.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