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

[멀티미디어 배움터 2.0] Ⅰ. 멀티미디어와 정보화사회 연습문제

아이리스 Iris 2022. 10. 11. 23:35

5지 선다형

1. 멀티미디어를 구성하는 미디어는?
텍스트, 사운드, 그래픽, 동영상

2. 멀티미디어라고 부를 수 있는 조건에 속하는 것은?
디지털 형태로 존재, 상호작용성, 다수의 미디어 포함, 컴퓨터를 이용하여 생성 및 처리

3. 멀티미디어의 특성에 속하는 것은? (p.22)
정보의 디지털화, 정보의 네트워크화, HCI 기술의 적용, 상호작용성의 지원

4. 폴 매클린의 뇌 3층 모델에서 멀티미디어와 관련된 정보를 흡수하고 제어하는 뇌의 부분은? (p.24)
중간층 뇌

5.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관련있는 것은?
멀티미디어 압축/복원 기술 ,하이퍼미디어 기술, 저장매체의 발전, 멀티미디어 표준화

6. 멀티미디어 정보의 호환성을 위해 가장 중요한 사항은?
표준화

7. 광섬유의 대역폭, 즉 데이터 전송속도는 6개월에 2배 또는 12개월마다 3배씩 증가한다고 주장한 사람은?
길더

8. 다양한 정보를 스마트 기기와 센서들을 통해 주고받으며, 생성된 데이터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시간으로 처리되고 분석되어 활용되는 사회를 무엇이라 하는가?
초연결사회

9. 멀티미디어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 가장 발전한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NUI 방식

10. 멀티미디어 표준 기술에 속하는 것은?
MPEG, JPEG, XML, HTML5


괄호넣기

1. 멀티미디어란 다수와 매체의 합성에서 나온 말이다. 따라서 멀티미디어란 과거 숫자와 문자 위주로만 된 컴퓨터 데이터를 벗어나 소리, 음악, 그래픽, 정지화상(이미지) 및 동영상(비디오)과 같은 여러 형태의 정보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생성, 처리, 통합, 제어 및 표현하는 개념을 담고 있다.

2. 텍스트, 그래픽과 애니메이션은 처음부터 컴퓨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것인 데 비해, 소리, 정지화상과 동화상(동영상)은 실세계에서 획득하여 컴퓨터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처리된 매체이다. (p.21)

3. 멀티미디어의 특성은 정보의 디지털화, 상호작용성의 지원,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의 공유, HCI 기술의 활발한 적용을 멀티미디어의 특성으로 들 수 있다.

4. 폴 매클린은 인간이 가장 편안하고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받는 뇌의 부분은 중간층 뇌를 통해 정보를 전달받는 방식이라 하였다. 이 중간층 뇌는 멀티미디어와 관련된 소리, 영상, 그래픽 등을 시청각적으로 흡수하고 제어한다.

5. 마이크로칩의 성능은 18개월마다 2배씩 증가한다고 한다. 이것을 무어의 법칙이라 하고, 이 법칙은 지난 40년간 매우 정확하게 맞아 왔으며 앞으로도 계속 유효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6. 멀티미디어 정보를 생성하는 데는 많은 비용과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정보의 호환성이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기술이 발전하고 정보의 호환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자연히 표준화 기술이 출현하게 되었다.

7. 일반적으로 광섬유의 대역폭, 즉 전송속도는 6개월에 2배 또는 12개월마다 3배씩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것을 길더의 법칙이라 하며, 따라서 앞으로 인터넷 가상공간에서 대량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서로 공유하는 데 매우 희망적이라 하겠다.

8. 앞으로의 초연결사회에서는 다양한 정보를 스마트 기기와 센서들을 통해 주고받으며, 생성된 데이터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시간으로 처리되고 분석되어 활용되는 사회로 발전해나갈 것이다. 지식정보화사회나 초연결사회에서 생성되고 처리되는 정보의 대부분은 텍스크 정보 외에도 사운드, 이미지, 비디오와 같은 멀티미디어의 형태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9. 지식의 증가속도는 점점 더 빨라지고 있고, 우리 주변에는 우리가 일생을 노력해도 도저히 다 흡수할 수 없을 만큼의 지식과 정보가 산재해 있다. 생산이 자동화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20세기의 제조업 경제가 21세기에는 디지털 경제 또는 지식정보경제로 변화되고 있다.

10.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첫째 유형은 CD/DVD 저장매체를 이용한 패키지형, 둘째 유형은 네트워크형 멀티미디어이고, 셋째 유형은 전자 동물원, 전자 박물관, 전자 미술관과 같은 전용 극장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