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AS(Web Application Server)
: 동적 서비스 제공
JEUS
Tomcat
WebSphere
(JVM X)
공통 모듈 구현
결합도 >
- 내용(Content)
- 공통(Common) : 전역 변수 참조
- 외부(External)
- 제어(Control)
- 스탬프(Stamp) : 배열, 객체, 구조 전달
- 자료(Data) : 파라미터를 통해서만 상호작용
응집도 <
- 우연적(Coincidental)
- 논리적(Logical)
- 시간적(Temporal)
- 절차적(Procedural)
- 통신적(Communication)
- 순차적(Sequential)
- 기능적(Functional)
스레싱(Thrashing)
: 어떤 프로세스가 계속적으로 페이지 부재가 발생 → 프로세스의 실제 처리 시간 < 페이지 교체 시간
페이지 크기 ↓
- 기억장소 이용 효율 ↑
- 입∙출력 시간 ↑
- 내부 단편화 ↓
교착상태
발생조건
- 상호배제(Mutual Exclusive)
- 점유와 대기(Block & Wait)
- 비선점(Non Preemption)
- 환형 대기(Circular Wait)
해결방법
- 예방(Prevention)
- 회피(Avoidance)
- 발견(Detection)
- 복구(Recovery)
은행원 알고리즘(Banker's Algorithm)
- 교착상태 회피 기법
- 사용자 프로세스가 사전에 필요한 자원의 수를 제시
- 운영체제가 자원의 상태를 감시, 안정 상태일 때만 자원 할당
CSMA/CD(충돌 탐지)
IEEE 802.3 유선 LAN의 반이중 방식(Half Duplex)
각 단말이 신호 전송 전 현재 채널이 사용 중인지 체크하여 전송
매체 액세스 제어(MAC) 방식
CSMA/CA(충돌 회피)
무선 LAN의 반이중 방식(Half Duplex)
사전에 가능한 충돌을 회피(Collision Avoidance)
무선 전송 다원 접속 방식
프로세스 관리
프로세스 상태
- 생성(Create)
- 준비(Ready)
- 실행(Running)
- 대기(Waiting)
- 완료(Complete)
프로세스 상태 전이
- 디스패치(Dispatch) : 준비→실행
- 타이머 런 아웃(Timer run out) : 실행→준비
- 블록(Block) : 실행→대기
- 웨이크 업(Wake-up) : 대기→준비
프로세스 스케줄링
선점형 스케줄링
- SRT
- MLQ(다단계 큐)
- MLFQ(다단계 피드백 큐)
- Round Robin(라운드 로빈)
비선점형 스케줄링
- 우선순위
- 기한부
- HRN : 가장 높은 현재 응답률, 기아 현상 ↓ → 우선순위 = (대기시간 + 서비스 시간) / 서비스 시간
- FCFS
- SJF : 가장 작은 서비스 시간, 기아 현상 O
가상화, 클라우드
가상화 : 물리적인 리소스들을 사용자에게 하나로 보이게 하거나, 하나의 물리적인 리소스를 여러 개로 보이게 하는 기술
클라우드 컴퓨팅
- 사설 클라우드
- 공용 클라우드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클라우드 서비스
- 인프라형 서비스(IaaS)
- 플랫폼형 서비스(PaaS)
- 소프트웨어형 서비스(SaaS)
OSI 7계층
7. Application(응용)
ex) HTTP, FTP, SMTP
6. Presentation(표현)
5. Session(세션) : 논리적 연결
ex) RPC, NetBIOS
4. Transport(전송) : 데이터 전달, 통신
ex) TCP, UDP
3. Network(네트워크) : 패킷 전달
ex) IP, ARP, ICMP, OSPF
2. Data Link(데이터 링크) : 링크의 설정/유지/종료, 노드 간 오류/흐름/회선 제어
ex) HDLC, PPP, FDDI, LLC, ALOHA 등
1. Physical(물리)
IP
IPv4(32bit)
: Unicast, Multicast, Broadcast
- A 클래스 : 0.0.0.0 ~ 127.255.255.255
- B 클래스 : 128.0.0.0 ~ 191.255.255.255
- C 클래스 : 192.0.0.0 ~ 223.255.255.255
- D 클래스 : 224.0.0.0 ~ 239.255.255.255
- E 클래스 : 240.0.0.0 ~ 255.255.255.255
IPv6(128bit)
: Unicast, Multicast, Anycast
IPv4 → IPv6 전환 : 듀얼 스택, 터널링, 주소변환
TCP
: 기본 헤더 크기는 20byte, 60byte까지 확장 가능
- 신뢰성 보장
- 연결 지향적 특징
- 흐름 제어
- 혼잡 제어
UDP
: 무결성 및 비신뢰성, 흐름·순서 제어가 없어 전송속도 빠름
라우팅 프로토콜
RIP : 거리 벡터(벨만-포드), 최대 15홉 제한
OSPF : 링크 상태(다익스트라), 라우팅 메트릭, 최단 경로
BGP : 경로 벡터, AS 상호 간 정보 교환
척와(Chukwa)
비정형 데이터 수집 기술, 분산된 각 서버에서 에이전트를 실행
컬렉터(Collector)가 에이전트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HDFS에 저장하는 기술
스쿱(Sqoop)
정형 데이터 수집 기술
커넥터(Connector)를 사용하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RDBMS)에서 HDFS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술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모듈화(Modularity)
재사용성(Reusability)
확장성(Extensibility)
제어의 역행(Inversion of Control)
MQTT
: IBM 주도 개발, 푸시 기술 기반의 경량 메시지 전송 프로토콜, 대역폭이 제한된 통신 환경에 최적화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처기 실기] 2021년 3회 필기 기출문제 (실기 대비 정리) (0) | 2021.09.09 |
---|---|
[정처기 필기] Ⅴ. 정보시스템 구축관리 (실기 9단원) (0) | 2021.08.03 |
[정처기 필기] Ⅲ. 데이터베이스 구축 (실기 7단원) (0) | 2021.08.03 |
[정처기 필기] Ⅱ. 소프트웨어 개발 (실기 3~5, 10, 12단원) (0) | 2021.08.03 |
[정처기 필기] Ⅰ. 소프트웨어 설계 (실기 1~2단원) (0) | 2021.08.03 |